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식품위생법규
- 원산지 표시대상
- 세균 수분활성도
- HSK시험종류
- 허가를 받아야 하는 영업 및 허가관청
- 세균의 특성
- 식품위생학
- 식품이력추적관리 등록기준
- 원산지표시범칙금
- 식품위생의 범위와 분류
- 제조연월일표시식품
- 식품관련법 소관부처 현황
- 세균곰팡이효모 수분활성도비교
- 유통기한과 품질유지기한
- 유통기한표시식품
- 식품위생감시원의 직무
- 식품의 위해요인
- 식품위생 행정기구
- 알레르기유발물질
- 식품위생의 목적
- 위생학공부
- 식품위생법규및행정
- 영양표시 대상 식품
- 식품위생의 정의
- 나트륨 함량 표시 식품
- 영업에 종사하지 못하는 질병의 종류
-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최저 수분활성도
- 영업의 종류
- 식품접객업 종류
- 식품위생법정리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식품위생법 (1)
새봉이의 식품 수난기٩(•̤̀ᵕ•̤́๑)ᵒᵏᵎᵎᵎᵎ
[식품위생학 정리] Chapter 2. 식품위생법 ①
chapter2. 식품위생법 -용어의 정의 식품 : 모든 음식물(의약으로 섭취하는 것은 제외) 식품첨가물 : 식품을 제조·가공·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, 착색, 표백 또는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. 기구·용기·포장을 살균·소독하는 데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으로 옮아갈 수 있는 물질도 포함. 화학적합성품 : 화학적 수단으로 원소나 화합물에 분해 반응 외의 화학 반응을 일으켜 얻은 물질. 기구 :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에 직접 닿는 기계·기구나 그 밖의 물건. =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거나 담는 것, 채취·제조·가공·조리·저장·소분 등. {농업, 수산업에서 쓰는 기계·기구 제외 (그물, 탈곡기, 어망), 「위생용품관리법」에 따른 위생용품 제외(일회용 수저)}. 용기·포장 : 식품,..
식품위생학(。•̀ᴗ-)✧/PART1. 식품위생법규 및 행정
2020. 5. 29. 00: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