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식품위생법규
- 식품위생의 정의
- 식품위생 행정기구
-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최저 수분활성도
- 영업의 종류
- 식품위생학
- 유통기한과 품질유지기한
- 영양표시 대상 식품
- 식품위생법규및행정
- 식품위생법정리
- 나트륨 함량 표시 식품
- 식품위생의 목적
- 식품위생의 범위와 분류
- 허가를 받아야 하는 영업 및 허가관청
- 식품이력추적관리 등록기준
- 제조연월일표시식품
- 세균곰팡이효모 수분활성도비교
- 유통기한표시식품
- 식품접객업 종류
- 식품관련법 소관부처 현황
- 식품의 위해요인
- 원산지 표시대상
- 세균의 특성
- 알레르기유발물질
- 식품위생감시원의 직무
- 영업에 종사하지 못하는 질병의 종류
- 원산지표시범칙금
- 세균 수분활성도
- 위생학공부
- HSK시험종류
- Today
- Total
목록식품위생학(。•̀ᴗ-)✧ (7)
새봉이의 식품 수난기٩(•̤̀ᵕ•̤́๑)ᵒᵏᵎᵎᵎᵎ
1. 세균 (1)기본개념 ①원핵세포, 단세포 생물 ②증식방법 : 이분법 ③형태 -구균(~coccus) : 연쇄상구균 (streptococcus), 포도상구균 (staphylococcus) -간균(~bacillus) : 단간균, 간균, 장간균 -나선균(~spirillum) :호균(콤마형), vibrio, campylobacter (2)세균 증식조건 ①단백질 함량이 높은 식품 ②pH -세균 : pH 6.8~7.2 (중성~약알칼리성) pH 4.6이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. -곰팡이, 효모 : pH 3~5가 최적. (산성) -유기산(약산성)의 미생물 저해 효과 : 프로피온산>초산>젖산>구연산>인산>염산 ③시간 -대수적, 기하급수적(2ⁿ의 속도) -세대시간(배가시간) : 세균이 증식하여 그 수가 2배 증가하는 ..

-영업의 종류 1. 식품제조·가공업 2. 즉석판매제조·가공업 3. 식품첨가물제조업 4. 식품운반업 5. 식품소분·판매업 가. 식품소분업 나. 식품판매업 : 식용얼음판매업, 식품자동판매기영업, 유통전문판매업,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, 기타 식품판매업(일정 규모 이상의 백화점,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하는 영업) 6. 식품보존업 가. 식품조사처리업 나. 식품냉동·냉장업 (수산물 제외) 7. 용기·포장류제조업 가. 용기·포장지제조업 나. 옹기류제조업 8. 식품접객업★ 가. 휴게음식점영업 나. 일반음식점영업 다. 단란주점영업 라. 유흥주점영업 마. 위탁급식영업 바. 제과점영업(맥주판매불가) -허가를 받아야 하는 영업 및 허가관청★ ①식품조사처리업 - 식품의약품안전처장 ②단란주점영업 - 특별자치시장·특별자치도지사, 시..
-원산지표시 :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농수산물 또는 그 가공품을 수입하는 자, 생산·가공하여 출하하거나 판매하는 자, 판매할 목적으로 보관·진열하는 자는 다음 각 호에 대해 원산지를 표시하여야 한다. ①농수산물 ②농수산물 가공품 (국내가공품 제외) ③농수산물 가공품 (국내가공품)의 원료 -거짓 표시 등의 금지 : 원산지 표시를 거짓으로 하거나 혼동 우려가 있는 표시를 하는 행위, 혼동하게 할 목적으로 표시를 손상·변경하는 행위, 원산지 위장 판매하거나 원산지 표시를 한 농수산물이나 그 가공품에 다른 농수산물이나 가공품을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보관·진열하는 행위 금지 -벌칙 (7년 이하, 1억원 이하 벌금, 또는 병과) 1)위 사항을 위반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 또는 ..
*식품의 표시기준 (Ⅰ.총칙) 1)용어정의 제조연월일 : 포장을 제외한 더 이상의 제조나 가공이 필요하지 아니한 시점. cf)포장 후 멸균 및 살균 같이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치는 제품은 최종공정을 마친 시점으로 함. cf)다만, 캅셀제품은 충전·성형 완료 시점으로 하고, 소분판매제품은 소분용 원료제품의 제조연월일로(소분한 시점 x), 단순 가공처리제품은 원료제품의 포장시점을 제조연월일로 잡는다. 유통기한 :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. 품질유지기한 : 식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존방법이나 기준에 따라 보관할 경우 해당식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기한. 트랜스지방 : ①트랜스구조를 1개이상 가지고 있는 ②비공액형 ③불포화지방. 1회 섭취참고량 : 만 3세 이상의 소비계층이..